공지사항
경기도 광역이동지원센터의 새로운 소식을 알려드립니다.
스미싱 문자 주의 안내 사항
안녕하세요 현재 의정부 행복콜 번호로 이용자들에게 스미싱 관련 문자가 유포되고 있어 주의 안내 드립니다.
해당 스미싱 문자는 「교통법규 위반 관련 URL」 형태로 유포되고 있으니 주의 부탁드립니다.
의심스러운 링크는 절대 누르지 않고, 관련 메세지는 즉시 삭제하시기 바랍니다.
URL을 클릭한 경우 다음을 수행하세요.
1. 휴대폰을 비행기 모드로 설정하세요.
2. 휴대폰을 전원 종료 후, 가까운 경찰서를 방문해 추가 안내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 추가 대응 안내 ]
o 번호 도용 문자 발송 차단
- 악성앱 감염 및 피싱 사이트를 통한 정보 유출이 의심되는 경우, 스미싱 문자 재발송을 위해 피해자 번호가 도용될 수 있으므로 “번호도용문자차단서비스*”를 신청하여 번호 도용 차단
* 이동통신사별 부가서비스 항목에서 무료로 신청 가능
o 모바일 결제 확인 및 취소
- 스미싱 악성앱 감염 및 피싱사이트 개인 정보 입력 시 모바일 결제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모바일 결제 내역 확인
① 통신사 고객센터를 통하여 모바일 결제 내역 확인
② 모바일 결제 피해가 확인되면 피해가 의심되는 스미싱 문자 캡처
③ 통신사 고객센터를 통해 스미싱 피해 신고 및 소액결제확인서 발급
④ 소액결제확인서를 지참하여 관할 경찰서 사이버수사대 또는 민원실을 방문하여 사고 내역 신고
⑤ 사고 내역을 확인받고 사건사고 사실 확인서 발급
⑥ 사건사고 사실 확인서 등 필요서류를 지참하여 통신사 고객센터 방문 또는 팩스나 전자우편 발송
⑦ 통신사나 결제대행 업체에 사실 및 피해 내역 확인 후 피해보상 요구
o 악성어플리케이션 삭제
-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인터넷주소를 클릭한 것만으로는 악성 앱에 감염되지 않으나 인터넷주소를 통해 어 플리케이션을 설치했다면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스마트폰 점검
① 모바일 백신으로 악성 앱 삭제하기
② 악성앱 수동 삭제하기
③ 서비스센터 방문
o 공인인증서 폐기 및 재발급하기
- 악성 앱에 감염되었던 스마트폰으로 금융서비스를 이용했다면 공인인증서, 보안카드 등 금융거래에 필요한 정보가 유출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해당 정보를 폐기하고 재발급
o 2차 피해 예방하기
- 스마트폰에 설치된 악성앱이 주소록을 조회하여 다른 사람에게 유사한 내용의 스미싱을 발송하는 등 2차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변 지인에게 스미싱 피해 사실을 알려야 함
해당 스미싱 문자는 「교통법규 위반 관련 URL」 형태로 유포되고 있으니 주의 부탁드립니다.
의심스러운 링크는 절대 누르지 않고, 관련 메세지는 즉시 삭제하시기 바랍니다.
URL을 클릭한 경우 다음을 수행하세요.
1. 휴대폰을 비행기 모드로 설정하세요.
2. 휴대폰을 전원 종료 후, 가까운 경찰서를 방문해 추가 안내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 추가 대응 안내 ]
o 번호 도용 문자 발송 차단
- 악성앱 감염 및 피싱 사이트를 통한 정보 유출이 의심되는 경우, 스미싱 문자 재발송을 위해 피해자 번호가 도용될 수 있으므로 “번호도용문자차단서비스*”를 신청하여 번호 도용 차단
* 이동통신사별 부가서비스 항목에서 무료로 신청 가능
o 모바일 결제 확인 및 취소
- 스미싱 악성앱 감염 및 피싱사이트 개인 정보 입력 시 모바일 결제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모바일 결제 내역 확인
① 통신사 고객센터를 통하여 모바일 결제 내역 확인
② 모바일 결제 피해가 확인되면 피해가 의심되는 스미싱 문자 캡처
③ 통신사 고객센터를 통해 스미싱 피해 신고 및 소액결제확인서 발급
④ 소액결제확인서를 지참하여 관할 경찰서 사이버수사대 또는 민원실을 방문하여 사고 내역 신고
⑤ 사고 내역을 확인받고 사건사고 사실 확인서 발급
⑥ 사건사고 사실 확인서 등 필요서류를 지참하여 통신사 고객센터 방문 또는 팩스나 전자우편 발송
⑦ 통신사나 결제대행 업체에 사실 및 피해 내역 확인 후 피해보상 요구
o 악성어플리케이션 삭제
-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인터넷주소를 클릭한 것만으로는 악성 앱에 감염되지 않으나 인터넷주소를 통해 어 플리케이션을 설치했다면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스마트폰 점검
① 모바일 백신으로 악성 앱 삭제하기
② 악성앱 수동 삭제하기
③ 서비스센터 방문
o 공인인증서 폐기 및 재발급하기
- 악성 앱에 감염되었던 스마트폰으로 금융서비스를 이용했다면 공인인증서, 보안카드 등 금융거래에 필요한 정보가 유출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해당 정보를 폐기하고 재발급
o 2차 피해 예방하기
- 스마트폰에 설치된 악성앱이 주소록을 조회하여 다른 사람에게 유사한 내용의 스미싱을 발송하는 등 2차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변 지인에게 스미싱 피해 사실을 알려야 함